헌혈은 생명을 살리는 가장 직접적인 나눔 활동입니다. 하지만 헌혈을 여러 번 하다 보면, “내가 지금까지 몇 번이나 헌혈했을까?”, “마지막 헌혈은 언제였지?”라는 궁금증이 생기곤 합니다. 또한 학교 봉사시간 인정이나 군 복무 관련 서류 제출, 혹은 개인적인 기록 관리가 필요할 때 헌혈 내역 조회가 반드시 필요하죠.
예전에는 헌혈 내역 확인을 위해 헌혈의집을 직접 찾아가야 했지만, 지금은 온라인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누구나 집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헌혈 기록 조회 방법

헌혈 내역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공식 홈페이지 (bloodinfo.net)
- 회원가입 또는 간편인증(공동인증서, 휴대폰 인증 등)을 통해 로그인 후 확인 가능합니다.
- PC 환경에서 출력까지 바로 할 수 있어, 제출용 서류가 필요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.
- 레드커넥트 앱
- 모바일 전용 서비스로,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헌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최근 헌혈 가능일, 누적 횟수, 혈액검사 결과 등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관리에 편리합니다.
두 경로 모두 본인 인증 절차가 필수이므로, 로그인 시 준비된 인증 수단(휴대폰 본인인증, 공동인증서 등)을 활용하면 됩니다.
조회 가능한 헌혈 기록 범위
대한적십자사는 1973년 이후 모든 헌혈 기록을 전산으로 보관하고 있어,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내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누적 헌혈 횟수
- 헌혈 일자
- 헌혈 종류(전혈, 혈장, 혈소판 등)
이렇게 상세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즉시 열람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. 오래전 헌혈 내역도 사라지지 않고 보관되어 있어, 수십 년 동안 이어온 나눔의 발자취를 돌아볼 수 있습니다.
발급 가능한 증명서와 용도
헌혈 기록은 단순히 개인 확인 용도뿐 아니라 공식 증빙 자료로도 활용됩니다.
- 봉사활동 시간 인정: 학교나 기관에 헌혈 실적을 봉사로 인정받을 때 제출
- 군 복무 증빙: 군 장병들의 경우 헌혈 실적을 복무 관련 증명에 활용 가능
- 개인 관리: 꾸준히 헌혈하는 사람이라면, 기록을 통해 건강 상태나 나눔 활동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됨
단,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. 헌혈 내역 확인 시 발급되는 서류에는 헌혈확인증명서와 헌혈지원확인증명서 두 가지가 있는데, 이 둘은 용도가 다릅니다. 봉사 시간 인정용으로는 ‘헌혈확인증명서’를, 군 복무 증빙용으로는 ‘헌혈지원확인증명서’를 제출해야 합니다. 용도를 혼동하면 인정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반드시 목적에 맞는 서류를 선택하세요.
온라인 출력 활용 팁
- 제출 시 바로 출력 가능: 홈페이지에서는 PDF 저장이나 프린트 출력이 즉시 가능해, 행정기관이나 학교 제출용으로 편리합니다.
- 모바일 캡처 활용: 레드커넥트 앱에서는 증명서를 화면으로 띄워 제출 기관에 캡처본을 보여주는 것도 가능합니다. 단, 기관에 따라 인쇄본을 요구할 수도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건강 관리 기능: 단순히 헌혈 기록뿐 아니라 혈액검사 결과도 함께 제공되므로, 정기 건강 체크의 자료로도 쓸 수 있습니다.
마무리
헌혈 기록은 이제 헌혈의집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,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나 레드커넥트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. 1973년 이후 모든 내역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, 수십 년 전 헌혈 실적까지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죠.
필요한 증명서만 올바르게 선택해 제출하면 봉사활동 인정, 군 복무 증빙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, 꾸준히 헌혈하는 분들에게는 자신의 나눔 역사를 돌아보는 소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.
생명을 살리는 작은 실천인 헌혈, 그리고 그 발자취를 확인할 수 있는 헌혈 기록 조회 서비스. 헌혈을 이어가는 모든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이니, 한 번쯤 본인의 기록을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